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주식 관련 이미지주식 관련 이미지주식 관련 이미지

     

     

    2025년이 시작된 게 엊그제 같은데, 어느새 상반기가 훌쩍 지나갔습니다.

     

    오늘은 2025년 상반기에 있었던 주요 경제 이슈 5가지를 정리하며, 시장의 흐름을 함께 되짚어보겠습니다.

     

    특히 코스피·코스닥 시장에서의 놀라운 상승세부터 글로벌 무역 전쟁, AI 산업 격변기까지 중요한 사건들이 쉴 새 없이 이어졌습니다.

     

     

    3,100선 돌파한 코스피, 증시 상승률 1위는?

     

    2025년 상반기 국내 증시는 놀라운 강세를 보였습니다.

     

    - 코스피 지수는 상반기 동안 약 30% 상승, 6월엔 3,100선을 돌파했으며

     

    - 코스닥 지수 역시 800선을 회복하며 11개월 만에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 상승률 1위 종목은?

     

    - 코스닥 상장사 SAMG엔터는 무려 650% 이상 급등!

     

    - 인기 애니메이션 '티니핑' 시리즈와 에스파 등과의 콜라보 효과가 컸습니다.

     

     

    ✅ 상승 주도 업종은?

     

    - 방산, 원전, 반도체, 증권, 지주사

     

    - 현대로템(방산주): K2 전차 수출 기대감에 주가가 4배 이상 급등하며 코스피 내 상승률 1위

     

     

     

    트럼프의 귀환과 재점화된 '관세 전쟁'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재선으로 글로벌 무역질서에 큰 충격이 있었습니다.

     

    - 캐나다·멕시코: 25% 관세

     

    - 중국: 20% 추가 관세

     

    - 한국·일본 등 동맹국에도 상호관세 부과 (한국: 25%)

     

    ✅ 관세 여파

     

    - 나스닥 지수 6% 폭락, 미국 국채 급락

     

    - 8월 1일부터 한국산 제품 25% 관세 부과 예정, 현재 협상 진행 중

     

     

    AI 전쟁: 미국 vs 중국, '딥시크'의 등장

     

    2025년 상반기 글로벌 기술 시장의 키워드는 단연 AI 경쟁입니다.

     

    - 중국의 딥시크(DeepSeek)는 챗GPT급 성능을 저렴한 가격에 구현해 AI 시장에 큰 충격을 안겼습니다.

     

     

    ✅ 미국 빅테크의 대응

     

    -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메타는 각각 100조 원 이상 투자해 AI 인프라를 확대 중

     

    - AI 패권 다툼이 본격화되며 관련 반도체·클라우드·데이터센터 산업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금값·비트코인 고공행진 🚀

     

    2025년 상반기, 자산 시장은 전례 없는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 금값

     

    - 연초: 2,600달러/온스 → 4월: 3,500달러/온스

     

    - 전 세계 불확실성(관세, 전쟁 등)으로 인해 금 수요 폭증

     

    - 한국거래소 금 시장 거래량 역대 최대

     

     

     

     

     

    ✅ 비트코인

     

    - 트럼프의 친 가상자산 정책 기대감으로 급등

     

    - 4월: 7만 4천 달러까지 급락

     

    - 이후 반등하며 11만 달러 돌파, 현재도 10만 달러 후반대 유지

     

     

    한국 경제, 0%대 성장률 전망

     

    성장률 둔화는 올해 한국 경제의 가장 큰 우려 중 하나였습니다.

     

     

    ✅ 기관별 성장률 전망 (하향 조정)

     

    - OECD: 2.1% → 1.5% → 1.0%

     

    - 한국은행: 1.5% → 0.8%

     

    ✅ 원인

     

     

    - 관세 여파로 인한 수출 부진

     

    - 내수 회복 및 건설업 위축

     

    - 인구 감소, 노동시장 이중구조 등 구조적 문제

     

    ※ 한국 경제가 1% 미만 성장률을 기록한 건 IMF 외환위기(1997), 글로벌 금융위기(2008), 코로나 팬데믹(2020) 이후 처음입니다.

     

    결론 

     

    2025년 상반기는 예상치 못한 글로벌 리스크와 기술 변화 속에서도 국내 증시가 강한 회복세를 보인 시기였습니다.

     

    하지만 관세 전쟁과 저성장 구조라는 복합 위기 앞에서, 우리 경제의 체질 개선이 더욱 절실해졌습니다.

     

     

    📌 앞으로의 투자와 정책 판단에도, 이번 상반기 흐름은 중요한 기준점이 될 것입니다.

     

         하반기에는 보다 안정적인 회복 흐름이 이어지길 기대해봅니다.

     

    반응형